[LinearAlgebra]고유값과 고유벡터
📚고유값과 고유벡터
T를 벡터공간 V에서 V로의 선형변환이고, M을 T에 대응하는 행렬이라 할 때, M에 의한 벡터 A의 변환은 일반적으로 벡터 A를 다양한 크기와 방향으로 변환시킨다.
그러나, 어떤 특정한 벡터들은 원래 벡터와 같은 방향이거나 또는 정반대 방향으로만 변환된다. 이런 벡터들을 고유벡터라고 한다.
위 내용을 예를 들어 설명해보면, 선형변환에 대응하는 행렬
\[\begin{pmatrix} 3 & 1 \\ 0 & 2 \end{pmatrix}\]이 있을 때, 대부분의 벡터는 선형변환 과정에서 크기와 방향이 바뀐다. 예를 들어
\[\begin{pmatrix} 1 \\ 1 \end{pmatrix}\]과 같은 벡터가 있다고 하면, 아래와 같이 크기와 방향이 바뀌고 자신의 스팬(벡터를 늘린 직선의 형태)을 벗어난다. (1, 1) 벡터가 (4, 2) 벡터로 변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\[\begin{pmatrix} 3 & 1 \\ 0 & 2 \end{pmatrix} \begin{pmatrix} 1 \\ 1 \end{pmatrix} = \begin{pmatrix} 4 \\ 2 \end{pmatrix}\]하지만 몇몇 특별한 벡터들은 자신의 고유한 스팬에 남아있다. 이것은 벡터에 스칼라 배 한 것과 같이 크기만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형태이다. 예를 들어,
\[\begin{pmatrix} -1 \\ 1 \end{pmatrix}\]벡터를 선형변환 해보면 (-1, 1)이 방향은 같고 크기만 두 배 증가된 (-2, 2) 벡터가 나오는 것을 알 수 있다. 여기서 (-1, 1) 과 같은 벡터를 고유벡터라고 한다. 그리고 변환 도중 벡터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정도의 배수를 고유값이라고 한다. 이 경우에는 2가 변환의 고유값인 것이다.
\[\begin{pmatrix} 3 & 1 \\ 0 & 2 \end{pmatrix} \begin{pmatrix} -1 \\ 1 \end{pmatrix} = \begin{pmatrix} -2 \\ 2 \end{pmatrix}\]📄정의
M: n차 정방행렬, λ: 실수
MA = λA를 만족하는 벡터 A가 존재(단, A ≠ O)
λ: M의 고유값(eigenvalue)
A: λ에 대응하는 M의 고유벡터(eigenvector). 영벡터 제외!
-
고유벡터: 어떤 벡터에 선형변환을 취했을 때, 방향은 변하지 않고 크기만 변환되는 벡터를 의미한다.
-
고유값: 고유벡터가 변환되는 크기를 의미한다.
📍예제
\(M = \begin{pmatrix} 2 & 3 \\ 0 & 1 \end{pmatrix}, \quad A = \begin{pmatrix} 1 \\ 0 \end{pmatrix}, \quad B = \begin{pmatrix} 0 \\ 1 \end{pmatrix}\) 일 때, A와 B는 M의 고유벡터인가?
(1) \(M = \begin{pmatrix} 2 & 3 \\ 0 & 1 \end{pmatrix} \begin{pmatrix} 1 \\ 0 \end{pmatrix} = \begin{pmatrix} 2 \\ 0 \end{pmatrix} = 2A\)
A는 고유값\(\lambda_1 = 2\)에 대응하는 M의 고유벡터
(2) \(M = \begin{pmatrix} 2 & 3 \\ 0 & 1 \end{pmatrix} \begin{pmatrix} 0 \\ 1 \end{pmatrix} = \begin{pmatrix} 3 \\ 1 \end{pmatrix} ≠ kA\)
B는 M의 고유벡터가 아니다!
📄정리
- A, B: 정방행렬 M의 고유값 λ에 대응하는 고유벡터
-> A + B, kA도 λ에 대응하는 고유벡터 -> M(A + B) = MA + MB = λA + λB = λ(A + B) -> M(kA) = kMA = k(λA) = λ(kA)
- λ: n차 정방행렬 M의 고유값
->{λ에 대응하는 모든 고유벡터들} ∪ {O} Rn공간의 부분공간이 됨.
고유값 λ에 대응하는 M의 고유공간
📍예제
고유값 λ=5에 대응하는 \(M = \begin{pmatrix} 1 & 3 \\ 4 & 2 \end{pmatrix}\)의 고유공간을 구하라.
λ=5에 대응하는 고유벡터를 \(A = \begin{pmatrix} x \\ y \end{pmatrix}\)라고 하면
\[MA = 5A \quad \rightarrow \quad \begin{pmatrix} 1 & 3 \\ 4 & 2 \end{pmatrix} \begin{pmatrix} x \\ y \end{pmatrix} = \begin{pmatrix} x & 3y \\ 4x & 2y \end{pmatrix} = 5\begin{pmatrix} x \\ y \end{pmatrix}\] \[\rightarrow \quad x + 3y = 5x, 4x + 2y = 5y \quad \rightarrow \quad 4x = 3y\] \[\rightarrow \quad A = \begin{pmatrix} x \\ y \end{pmatrix} = k\begin{pmatrix} 3 \\ 4 \end{pmatrix} \text{(단, k≠0)}\]M의 고유공간은 \(\{A|A=k\begin{pmatrix} 3 \\ 4 \end{pmatrix}, \; k \in R\}\)로 1차원이다.
- 고유값과 고유벡터의 일차독립성
M: n차 정방행렬
λ1, λ2, …, λn: M의 서로 다른 고유값(고유값은 최대 n개 나올 수도 있고 안 나올수도 있음.)
Ai: λi에 대응하는 고유벡터
-> A1, A2, …, An 들은 일차독립
n차 정방행렬 M이 n개의 서로 다른 고유값을 가지면 서로 일차독립인 n개의 고유벡터를 가진다는 의미이다.
📚특성방정식
λ가 정방행렬 M의 고유값
<=> MA = λA (A ≠ O)
<=> MA - λA = MA - λIA = (M - λI)A = O
<=> |M - λI| = 0 (행렬 M의 특성방정식)
- 동차연릭방정식 AX = O가 오직 자명한 해만 가질 필요충분조건: |A| ≠ 0
- 동차연릭방정식 (M - λI)A = O가 O이 아닌 해 A를 가질 필요충분 조건: |M - λI| = 0
📄고유값과 특성방정식
M: n차 정방행렬
실수 λ가 M의 고유값 <=> λ가 M의 특성방정식의 해
- M이 삼각행렬이라면 특성방정식은?
M이 삼각행렬이라면 주대각 원소들이 고유값이다. 삼각행렬의 행렬식 값은 주대각 원소들을 곱한 것이기 때문이다.
\[\begin{align} &M = \begin{pmatrix} 2 & 1 & 4 \\ 0 & 1 & 5 \\ 0 & 0 & 3 \end{pmatrix}\\ \\ &|M - \lambda I_3| = \begin{vmatrix} 2 - \lambda & 1 & 4 \\ 0 & 1 - \lambda & 5 \\ 0 & 0 & 3 - \lambda \end{vmatrix} \\ \\ &\lambda = 1, 2, 3 \end{align}\]📄특성방정식의 활용
M: n차 정방행렬
- 특성방정식을 이용하여 고유값을 구한다.
-> |M - λIn| = 0를 풀어서 고유값 λ를 구할 수 있다. - 각 고유값에 대응하는 고유벡터를 구한다.
-> (M - λIn)A = O를 풀어서 고유벡터 A를 구할 수 있다. - 각 고유값에 대응하는 고유벡터를 표현해주는 일차독립인 벡터를 구하여 고유공간의 기저를 구한다.
📍예제
다음 행렬의 고유값과 고유벡터를 구하시오.
\[M = \begin{pmatrix} 1 & 9 \\ 0 & 4 \end{pmatrix}\](1) 고유값
\[\begin{align} |M - \lambda I_2| &= \begin{vmatrix} 1 - \lambda & 9 \\ 0 & 4 - \lambda \end{vmatrix} \\ \\ &= (1 - \lambda)(4 - \lambda) = 0 \\ &\lambda = 1, 4 \end{align}\](2)고유벡터 A = (x, y)T
- λ1 = 1일 때
- λ2 = 4일 때
Leave a commen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