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LinearAlgebra]행렬연산
📚기본 개념
📄정방행렬
행의 수와 열의 수가 같은 n x n 행렬을 n차 정방행렬이라고 한다. n을 정방행렬의 차수라고 한다. a11, a22, a33, …, ann 원소를 주대각원소라고 한다. 주대각원소를 포함하는 대각선을 주대각선이라고 한다.
📍정방행렬
\[\begin{pmatrix} 1 & 1 & 1 \\ 1 & 1 & 1 \\ 1 & 1 & 1 \\ \end{pmatrix}\]📄대각행렬
n차 정방행렬에서 대각원소 이외의 모든 원소가 0인 행렬을 대각행렬이라고 한다. 대각원소가 모두 같은 값인 대각행렬을 스칼라 행렬이라고 한다.
📍대각행렬
\[\begin{pmatrix} 1 & 0 & 0 \\ 0 & 2 & 0 \\ 0 & 0 & 2 \\ \end{pmatrix}\]📄단위행렬
n차 정방행렬에서 대각원소가 모두 1이고 나머지 원소는 모두 0인 행령을 n차 단위행렬이라고 한다. In 기호로 나타낸다.
📍단위행렬
\[I_3 = \begin{pmatrix} 1 & 0 & 0 \\ 0 & 1 & 0 \\ 0 & 0 & 1 \\ \end{pmatrix}\]📄영행렬
모든 원소가 0인 행렬을 영행렬이라고 한다. 아래 행렬을 3 x 3인 영행렬이다.
\[\begin{pmatrix} 0 & 0 & 0 \\ 0 & 0 & 0 \\ 0 & 0 & 0 \\ \end{pmatrix}\]📄삼각행렬
n차 정방행렬에서 주대각선 아래에 있는 모든 원소들이 0인 경우 상삼각행렬, 주대각선 위에 있는 모든 원소들이 0인 경우 하삼각행렬이라고 한다. 상삼각, 하삼각행렬을 삼각행렬이라고 부른다.
📍삼각행렬
- 상삼각행렬
\(\begin{pmatrix}
2 & 5 & 2 \\
0 & 3 & 4 \\
0 & 0 & 1 \\
\end{pmatrix}\)
- 하삼각행렬 \(\begin{pmatrix} 2 & 0 & 0 \\ 4 & 3 & 0 \\ 2 & 1 & 0 \\ \end{pmatrix}\)
📚행렬의 합
행렬이 수를 배열한 것이므로 더하려는 두 행렬의 크기가 같다면 쉽게 합을 정의할 수 있다. 두 행렬의 합은 우선 행렬의 크기가 서로 같은 경우를 전제로 한다. 행렬에 대한 합 연산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.
A = (aij)와 B = (bij)를 m × n행렬이라 하면 두 행렬 A, B의 합은 m × n행렬 C = (cij)로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.
\[c_{ij} = a_{ij} + b_{ij} (1 <= i <= m, 1 <= j <= n)\]두 행렬의 합은 A + B = C로 나타낸다.
-
행렬의 합
같은 크기의 행렬 A, B가 있을 때 같은 위치의 A의 원소로부터 B원소를 더해서 구해지는 행렬이다. -
행렬의 차
같은 크기의 행렬 A, B가 있을 때 같은 위치의 A의 원소로부터 B원소를 빼서 구해지는 행렬이다.
📍두 행렬의 합에 대한 결과를 구하시오.
\(A = \begin{pmatrix}
5 & 3 \\
1 & 1 \\
\end{pmatrix}
\quad
B = \begin{pmatrix}
0 & 1 \\
2 & 2 \\
\end{pmatrix}\)
-
A + B = ?
\(A + B = \begin{pmatrix} 5 & 4 \\ 3 & 3 \\ \end{pmatrix}\) -
A - B = ?
\(A - B = \begin{pmatrix} 5 & 2 \\ -1 & -1 \\ \end{pmatrix}\)
Mmn이 m × n행렬 전체의 집합이고 A, B, C가 Mmn의 임의의 원소라고 하면 행렬의 합은 다음과 같은 성질이 성립한다.
- A + B = B + A
- A + (B + C) = (A + B) + C
- A + O = A (행렬 O를 m × n크기의 영행렬이라고 한다.)
📚행렬의 스칼라곱
하나의 행렬에 하나의 수를 곱하는 연산을 행렬의 스칼라 곱이라고 한다.
A = (aij)가 m × n행렬이고 c를 임의의 수라고 하면 행렬 A와 수 c의 스칼라곱 cA는 m × n행렬이고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.
\[cA = (ca_{ij}) (1 <= i <= m, 1 <= j <= n)\]스칼라곱하여 얻어지는 행렬의 크기는 m × n행렬이고 (i, j) 행렬원소는 caij이다.
📍다음 행렬의 스칼라곱의 결과를 구하시오.
\[A = \begin{pmatrix} 2 & 1 \\ 1 & -1 \\ \end{pmatrix}\]- 2A = ?
\(2A = \begin{pmatrix} 4 & 2 \\ 2 & -2 \\ \end{pmatrix}\)
Mmn이 m × n행렬 전체의 집합이고 A, B가 Mmn의 임의의 원소이며 c, d는 임의의 수라고 하면 행렬의 스칼라곱은 다음과 같은 성질이 성립한다.
- (c + d)A = cA + dA
- c(A + B) = cA + cB
- c(dA) = (cd)A
- 1A = A
📚행렬의 곱
행렬의 스칼라곱과 달리 행렬의 곱은 두 행의 곱을 의미한다. 행렬의 곱은 크기가 같은 두 행렬에 대해 대응되는 성분끼리 곱하는 것이 아니다!
두 행렬의 곱 AB를 정의하려면 A의 열의 개수와 B의 행의 개수가 같아야 한다. A가 m × p 행렬이고 B가 p × n 행렬일 때, 행렬의 곱은 m × n 행렬이 된다.
📍행렬 곱의 결과를 구하시오.
\(A = \begin{pmatrix}
5 & 3 \\
1 & 1 \\
\end{pmatrix}
\quad
B = \begin{pmatrix}
0 & 1 \\
2 & 2 \\
\end{pmatrix}\)
- AB = ?
\(AB = \begin{pmatrix} (5 * 0) + (3 * 2) & (5 * 1) + (3 * 2) \\ (1 * 0) + (1 * 2) & (1 * 1) + (1 * 2) \\ \end{pmatrix} = \begin{pmatrix} 6 & 11 \\ 2 & 3 \\ \end{pmatrix}\)
행렬의 합은 일반적인 수에서의 대수적 성질과 유사하지만 행렬의 곱은 그렇지 않다. A + B = B + A는 성립하지만 AB = BA는 언제나 성립하는 것은 아니라서 행렬의 곱은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는다.
행렬의 곱은 또 다른 특이함이 있다. 영행렬이 아닌 두 행렬의 곱이 영행렬이 되는 경우가 있다. 또한 행렬 A, B, C가 있을 때, B ≠ C임에도 AB = AC가 되기도 한다.
📚전치행렬
주어진 행렬에 대해서 원소들의 행과 열을 서로 바꾸어 배치하는 것을 행렬의 전치라고 한다.
A = (aij)를 m × n행렬이라 하면 A의 전치행렬은 n × m행렬 AT = aijT로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.
\[(a_{ij})^{T} = a_{ji} (1 <= i <= m, 1 <= j <= n)\]📍행렬 A의 전치행렬을 구하시오.
\[A = \begin{pmatrix} 2 & 1 \\ 4 & 3 \\ \end{pmatrix} \quad B = \begin{pmatrix} 2 & 1 & 3 \\ \end{pmatrix}\]행렬의 전치는 다음과 같은 성질이 있다.
- (AT)T = A
- (A + B)T = AT + BT
- (AB)T = BTAT
- (cA)T = cAT
AT = A인 행렬 A를 대칭행렬이라고 한다. 행렬 A가 대칭행렬이 되려면 정방행렬이어야 하고 aij = aji를 만족해야 한다. 따라서 대칭행렬 A는 주대각원소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의 행렬원소가 서로 같은 행렬이다.
Leave a commen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