📚내적공간과 직교벡터

일반 벡터공간에서의 내적

벡터공간 V의 임의의 두 벡터 A, B에 대해 실수 <A, B>를 대응시키는 관계가 다음을 만족할 때 <A, B>를 A와 B의 내적이라고 한다.

A, B, C ∈ V, k ∈ R(실수집합)

  1. <A, B> = <B, A>
  2. <A, B + C> = <A, B> + <A, C>
  3. <kA, B> = k<A, B>
  4. <A, A> >= 0 이고, <A, A> = 0일 필요충분조건은 A = O


📄내적공간

벡터공간에 내적을 고려해서 내적이 포함된 벡터공간을 내적공간이라고 한다.

<, >: 벡터공간 V에 정의된 내적

-> V를 내적공간(inner product space). {V, <, >}로 표시한다.

예) Rn벡터공간은 내적공간으로서 {Rn, ·}


📄내적공간의 벡터크기

  • Rn 내적공간의 벡터 A의 크기
\[| A | = \sqrt{(A \cdot A)} = \sqrt{a^{2}_{1} + a^{2}_{2} + ... + a^{2}_{n}}\]


  • 일반 내적공간 {V, <, >}의 벡터 A의 크기
\[|| A || = \sqrt{<A, A>}\]


📄벡터 사이의 각(사이각)

  • Schwarz부등식

내적공간 {V, <, >}에서 임의의 벡터 A, B ∈ V에 대하여

\[| \; <A, B> | \; \le \; ||A|| \; ||B||\]

A와 B의 내적의 크기(절대값)는 각각의 A, B크기의 실수 곱 보다 작거나 같다.


O벡터가 아닌 A, B에 대해 Schwarz 부등식

\[| \; <A, B> | \; \le \; ||A|| \; ||B||\] \[\frac{| \; <A, B> |}{||A|| \; ||B||} \le 1\] \[-1 \le \frac{<A, B>}{||A|| \; ||B||} \le 1\] \[cos\theta \equiv \frac{<A, B>}{||A|| \; ||B||} (0 \le \theta \le \pi)\]

벡터 A와 B 사이의 각이 \(\theta\)라고 약속해서 사용.


📄벡터의 직교

<A, B> = 0이면 cosθ = 0이므로 θ = 90도 -> A와 B는 직교(orthogonal)한다.

  • 직교벡터들의 일차독립성 내적공간 {V, <, >}에서
    벡터 A1, A2, …, An(단, Ai ≠ O)이 서로 직교하면 이 벡터들은 일차독립이다.

  • 직교집합(orthogonal set): 서로 직교인 O이 아닌 벡터(직교벡터)들의 집합

  • 단위직교집합(orthonormal set): 길이가 1인 직교벡터들의 집합

📍예제

{R3, ·}, S = {A1, A2, A3}

\[A^{T}_{1} = (1 \quad 1 \quad 1), A^{T}_{2} = (1 \quad -2 \quad 1), A^{T}_{3} = (1 \quad 0 \quad -1)\] \[\begin{gather} A_1 \cdot A_2 = 1-2+1 = 0 \\ A_2 \cdot A_3 = 1+0-1 = 0 \\ A_3 \cdot A_1 = 1+0-1 = 0 \\ \rightarrow \text{S는 직교집합(기저)} \end{gather}\] \[\begin{gather} |A_1| = \sqrt{3}, \quad |A_2| = \sqrt{6}, \quad |A_3| = \sqrt{2} \\ \rightarrow \text{S는 단위직교집합 아니다.} \end{gather}\]

위 집합을 단위직교집합으로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?

-> 벡터 자신을 자기 자신의 길이로 나눠주면 된다.(정규화)

\[B_i = \frac{A_i}{| A_i |}\] \[\begin{gather} B_1 = \frac{1}{\sqrt{3}}A_1 \\ B_2 = \frac{1}{\sqrt{6}}A_2 \\ B_3 = \frac{1}{\sqrt{2}}A_3 \\ \rightarrow S_{unit} = \{B_1, B_2, B_3\}\text{는 단위직교집합} \end{gather}\]


📄직교보공간

내적공간 {V, <, >}에서
벡터 A가 V의 부분공간 U의 모든 벡터들과 직교하면, 벡터 A는 U와 직교한다.

U와 직교하는 V의 모든 벡터들의 집합을
U의 직교보공간(orthogonal complement)이라고 한다.

\[U^\perp = \{A \in V \; | \; \forall B \in U, <A, B> = 0\}\] \[U \cup U^\perp = V \; \text{(보 관계)}\]

어떤 부분공간에 대응해서 직교하는 벡터들만 모아놓은 부분공간이라고 이해.


  • 직교보공간의 성질

내적공간 {V, <, >}에서 U를 V의 부분공간이라고 할 때

  1. \( U^\perp \lt V \)
  2. \( U \cap U^\perp = {O} \)
  3. \( (U^\perp)^\perp = U \)
  4. \( A \in U^\perp \Leftrightarrow \text{A가 U의 기저와 직교 } \)



📚직교행렬

M: n차 정칙행렬
M-1 = MT => M을 직교행렬(orthogonal matrix)
MMT = I와 같다.

행렬 M의 역행렬과 행렬 M의 행과 열을 바꾼 전치행렬이 같으면 행렬 M을 직교행렬이라고 한다.

📍예제

\[M = \begin{pmatrix} 0 & 1 \\ 1 & 0 \end{pmatrix} \rightarrow M^{-1} = \begin{pmatrix} 0 & 1 \\ 1 & 0 \end{pmatrix} = M^T\]


📄직교행렬 특징

MMT = I

-> M의 행벡터 Ai에 대해

\[<A_i, A_j> = \begin{cases} 1 \quad (i = j) \\ 0 \quad (i \neq j) \end{cases}\] \[M \cdot M^T = \begin{pmatrix} A_1 \cdot A_1 & A_1 \cdot A_2 \\ A_2 \cdot A_1 & A_2 \cdot A_2 \end{pmatrix} = \begin{pmatrix} 1 & 0 \\ 0 & 1 \end{pmatrix}\]

자기 자신과 내적하면 1이 되고 그렇지 않으면 0이 된다.


  • 단위직교벡터와의 관련성

n차 정방행렬 M이 직교행렬 <=> M의 열벡터 또는 행벡터들이 단위직교벡터


📄직교행렬의 행렬식

M이 직교행렬 => M의 행렬식은 1또는 -1

\[M^TM = I \rightarrow |M^TM| = |M||M^T| = |M|^2 = |M| = \pm1\]
  • |AB| = |A| |B|
  • |AT| = |A|


📄2차 직교행렬의 특성

2차 정방행렬 M이 직교행렬
-> M은 평면에서의 회전변환 또는 대칭변환에 대응하는 행렬

  1. |M| = 1 => M은 회전변환에 대응
  2. |M| = -1 => M은 대칭변환에 대응


  • 대칭행렬의 대각화

대칭행렬 M은 직교행렬에 의해 대각화된다.



📚직교변환

{V, <, >}, {W, <, >}: 내적공간일 때
T: V -> W 선형변환이고,
|| T(A) || = ||A||이면
T를 직교변환이라고 한다.

직교변환이란 원래 있던 벡터의 길이를 보존하는 선형변환이라고 이해.


📄직교변환의 성질

{V, <, >}, {W, <, >}: 내적공간
T: V -> W 선형변환이고일 때 다음은 모두 동치이다.

  1. T가 직교변환
  2. ∀A, B ∈ V, <A, B> = <T(A), T(B)> (내적 보존)
  3. 내적공간 V의 단위직교기저 {Ai}에 대해 {T(Ai)}는 내적공간 W의 단위직교집합(사이각 보존)
  4. 단위직교기저에 의한 T에 대응하는 행렬 M은 MTM = I를 만족한다.
    (dim V = dim W = n이면 행렬 M은 n차 직교행렬)


📄직교변환과 직교행렬의 관계

내적공간 {V, <, >}에 대해
A, B ∈ V이고, T: V -> V가 직교변환, M을 T의 행렬로서 n차 직교행렬(MTM = I)이라고 하면,

  • 길이 보존: || T(A) || = ||A||
\[\begin{align} ||MA||^2 &= \; <MA, MA> \; = (MA)^T(MA) \\ &= (A^TM^T)(MA) = A^T(M^TM)A \\ &= A^TIA = A^TA = ||A||^2 = \; <A, A> \end{align}\]


  • 각 보존: θ -> θT
\[cos\theta = \frac{<A, B>}{||A|| \; ||B||}\] \[\begin{align} cos\theta_T &= \frac{<T(A), T(B)>}{||T(A)|| \; ||T(B)||} = \frac{<MA, MB>}{||MA|| \; ||MB||} \\ &= \frac{<MA, MB>}{||A|| \; ||B||} \quad (||MA|| = ||A||(\text{길이 보존})) \\ &= \frac{(MB)^TMA}{||A|| \; ||B||} = \frac{B^TM^TMA}{||A|| \; ||B||} \\ &= \frac{B^TA}{||A|| \; ||B||} = cos\theta \end{align}\]



Leave a commen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