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LinearAlgebra]평면벡터와 공간벡터
📚평면벡터
A를 평면 R2상의 벡터라고 하고, 벡터 A의 시작점을 평면의 원점에 맞출 때 끝점 P를 (a, b)라고 하면 벡터 A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.
\[A = \overrightarrow{OP} = (a, b)\]평면벡터 A = (a, b)가 주어졌을 때 벡터 A의 크기를 |A|으로 쓰고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.
\[|A| = \sqrt{a^2 + b^2}\]📚공간벡터
벡터를 이용하여 R3 공간의 직선에 대한 벡터 방정식을 구하는 방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.
- R3 공간의 두 벡터 A = (x1, y1, z1), B = (x2, y2, z2)의 끝점을 지나는 직선의 벡터 방정식은 C = A = k(B - A)이고, 이 방정식의 성분 표현은 다음과 같다.
- R3 공간의 벡터 A = (x2, y2, z2)에 평행하고 한 점 B = (x1, y1, z1)을 지나는 직선의 벡터방정식은 C = B + kA이고, 이 방정식의 성분 표현은 다음과 같다.
📚Rn 공간벡터
📄유클리드 n차원 공간
n개의 실수들의 순서조(ordered pair) 전체의 집합
(1, 2) ≠ (2, 1)
\( R^{2} = R \times R \)
\( R^{n} = R \times … \times R \text(n번 곱함) \)
📄벡터의 정의 및 상등
R2 | R3 | Rn |
---|---|---|
A = (a1, a2) | A = (a1, a2, a3) | A = (a1, a2, …, an) |
A = (a1, a2) B = (b1, b2) (a1 = b1, a2 = b2) -> A = B |
A = (a1, a2, a3) B = (b1, b2, b3) (a1 = b1, a2 = b2, a3 = b3) -> A = B |
A = (a1, a2, …, an) B = (b1, b2, …, bn) (∀i, ai = bi) -> A = B |
두 벡터가 같으려면 성분끼리 같아야 한다.
📄벡터의 크기|A|
- R2
A = (a1, a2)
\( |A| = \sqrt{a_{1}^{2} + a_{2}^{2}} \)
- R3
A = (a1, a2, a3)
\( |A| = \sqrt{a_{1}^{2} + a_{2}^{2} + a_{3}^{2}} \)
- Rn
A = (a1, a2, …, an)
\( |A| = \sqrt{a_{1}^{2} + a_{2}^{2} + … + a_{n}^{2}} \ = \sqrt{\sum_{1}^{n}a_{i}^{2}} \)
📄벡터의 실수곱
벡터의 실수곱 kA는 모든 벡터의 성분에 스칼라 k를 곱해준다.
(ka1, ka2)
(ka1, ka2, ka3)
(ka1, ka2, …, kan)
📄벡터의 합
벡터의 벡터 합 A + B
벡터의 성분끼리 더하면 된다.
A = (a1, a2, a3) B = (b1, b2, b3)
A + B = (a1 + b1, a2 + b2, a3 + b3)
📄Rn 공간 벡터의 성질
A, B, C ∈ Rn, k, l ∈ R
- A + B = B + A(덧셈의 교환법칙)
- A + (B + C) = (A + B) + C(덧셈의 결합법칙)
- A + O = O + A = A (덧셈의 항등원)
- A + (-A) = (-A) + A = O (덧셈의 역원)
- k(A + B) = kA + kB (실수곱의 분배법칙)
- (k + l)A = kA + lA (실수곱의 분배법칙)
- k(lA) = (kl)A (실수곱의 결합법칙)
- 1A = A (실수곱의 항등원)
📚R3 공간에서의 직선의 방정식
- 두 점 P와 Q를 지나는 곡선
P(x1, y1, z1), Q(x2, y2, z2)
\[\vec{PQ} // \vec{PX} => B - A // C - A => C - A = k(B - A)\] \[C = A +k(B - A)\] \[(x, y, z) = (x_1, y_1, z_1) + k(x_2 - x_1, y_2 - y_1, z_2 - z_1)\] \[\begin{cases} &x = x_1 + k(x_2 - x_1) \\ &y = y_1 + k(y_2 - y_1) \\ &z = z_1 + k(z_2 - z_1) \end{cases}\] \[k = \frac{x - x_1}{x_2 - x_1} = \frac{y - y_1}{y_2 - y_1} = \frac{z - z_1}{z_2 - z_1}\]- 한 점P를 지나고 벡터 A에 평행한 직선
P(x1, y1, z1), A(x2, y2, z2)
\[\vec{PX} // A => C - B // A => C - B = kA\] \[C = B + kA\] \[(x, y, z) = (x_1, y_1, z_1) + k(x_2, y_2, z_2)\] \[\begin{cases} &x = x_1 + kx_2 \\ &y = y_1 + ky_2 \\ &z = z_1 + kz_2 \end{cases}\] \[k = \frac{x - x_1}{x_2} = \frac{y - y_1}{y_2} = \frac{z - z_1}{z_2}\]📚벡터의 내적
Rn 공간의 두 벡터 A = (a1, a2, …,an) B = (b1, b2, …,bn)
벡터 A와 벡터 B의 내적을 A · B = a1b1 + a2b2 + … + anbn 으로 정의한다.
(각 성분끼리 곱해서 모두 더한다.)
- A · B = ABT (벡터 A와 B의 내적은 n×1행렬 A와 1×n행렬 B의 행렬 곱)
📄내적의 성질
- A · B = B · A (교환법칙)
- A · (B + C) = A · B + A · C (분배법칙)
- (kA) · B = k(A · B) = A · (kB) (결합법칙)
- A · A = |A|2≥0 이다.
A · A = 0 일 필요충분조건은 A = O이다.
📄벡터의 내적과 사이각
R2나 R3에서 벡터 A와 B의 사이각을 θ라 하면 A · B = |A| |B| cosθ가 성립한다.
\[\cos\theta = \frac{A · B}{|A||B|}\]- 벡터의 내적과 사이각, 정사영(그림자) 벡터
📄두 벡터의 수직 조건
R2나 R3에서 영벡터가 아닌 두 벡터 A, B가 수직인 것은 A · B = 0인 것과 동치이다.
\[\cos\theta = \frac{A · B}{|A||B|} = 0\]cosθ = 0 (θ = 90°)
Leave a comment